알림마당         학회모임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포럼 개최 안내: 이동의 시각적 경험과 통치성: 『Cine-Mobility』(2022)를 중심으로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64

도시인문학포럼 개최 안내이동의 시각적 경험과 통치성Cine-Mobility(2022)를 중심으로



안녕하세요.

도시인문학연구소에서 다음과 같이 제78차 도시인문학포럼을 개최합니다.

 

일시: 2023년 6월 19(오후 4:00


장소서울시립대 배봉관 212/213

 

주제이동의 시각적 경험과 통치성Cine-Mobility(2022)를 중심으로


발표자김한상(아주대 사회학과)

 

도시인문학연구소는 디지털폴리스의 인문적 비전이라는 주제 하에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그 일환으로 아주대 사회학과의 김한상 교수님을 모시고 이동의 시각적 경험과 통치성Cine-Mobility(2022)를 중심으로라는 주제의 포럼을 마련했습니다.

 

본 포럼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개항 이후 철도 개통과 최초의 영화상영이라는 사건에서부터 1980년대 중후반의 자동화(automation) 담론과 1990년대의 금융자동화 시스템 구축에 이르기까지의 20세기 한국역사를 시각적 이동성 체제의 변천(transformation of the regimes of visual mobility)이라는 이론틀을 통해 문화·역사사회학적으로 추적하려는 것이 이 책 Cine-Mobility』 (2022)의 문제 의식이다철도 부설과 규칙적인 운송체계의 도입이 식민지의 조선인들에게 근대적인 시간과 공간 관념을 집단적으로 학습하게 하는 것이었다면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고속도로의 건설로 대표되는 해방 이후 한국의 산업근대화는 이동의 유연성(flexibility)을 보장 받은 개인들의 유토피아를 미래상으로 꿈꾸게 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이러한 이동성에 대한 감각의 변화를 추동한 중요한 요소로 이 연구는 영화선전그리고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주목 한다. 20세기 한국사회의 이동체계와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크게 세 개의 시기(train-cinema interface, automobile-screen interface, post-cine-mobility)에 걸쳐서 고찰한 이 연구는 'cine-mobility'라는 개념의 제안을 통해 시각적 이동성혹은 이동의 시각적 경험에 내재한 통치성을 읽어내고자 한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도시인문학연구소 드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Tel: 02) 6490-5338  Fax: 02) 6490-5347

Add: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전농동 90)
서울시립대학교 창공관 330호 도시인문학연구소

목록